현장프로젝트 / On-site Project
Nowhere, Now here 체험적 노드: 수집된 감각
도시의 외딴섬으로 있던 송현동 부지가 지난가을 도심 속 공원으로 시민과 다시 만났다. 110년 만에 ‘열린송현녹지광장(이하 송현광장)’이라는 이름으로 공개된 이 땅은 제4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의 주 전시장으로서 도시적, 역사적, 지리적으로 함의하는 바가 다층적인 장소이다. 이에 현장프로젝트는 도시적인 맥락에서 시민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 공원 내 야외 전시장이 취하는 전시 방식의 특수성, 전시장 부지의 환경적인 날씨 변화에 따른 다각적인 경험을 의도했다. 현장프로젝트는 도심 속 송현광장의 공간적인 가능성을 실험하는 전시이다.
현장프로젝트는 송현광장의 자연현상, 주제전의 하늘소, 땅소와의 물리적 관계성, 부지 안의 여러 전시 사이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전시장 주변과 전체 부지를 엮는 건축적 장치를 제안한다. 비엔날레 기간에 전시될 다양한 유형의 파빌리온(pavilion)은 2년간 시민들에게 개방되는 송현광장이 한시적인 장소로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질문하는 계기로 시민과의 적극적인 만남을 통해 장소성을 회복하는 시발점이 될 것이다.
각 파빌리온은 도심에서 북악산, 인왕산 등의 자연경관을 마주할 수 있는 특이점을 바탕으로, 도시와 연결된 열린 야외 공간의 장소성을 재인식하게 하며 동시에 주변의 서울공예박물관, 삼청동, 인사동, 경복궁 일대로의 새로운 동선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수십 년간 파빌리온이나 폴리(folly)가 이벤트 장소 혹은 건축적, 예술적 설치물의 기능에 충실했다면, 제4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에서는 도시와 송현동이 관계하는 여러 방식을 제안하며 부지 내외부의 동선을 안내하는 것뿐 아니라, 동시에 독립적인 공간으로서 ‘체험적 노드’의 역할을 기대한다. 또 개소별로 땅과 하늘, 바람 등의 자연적인 요소와 도시의 여러 시청각적, 촉각적, 인지적 요소 등을 소재로 색다른 송현광장을 경험하게 할 것이다. 건축적 장치, 파빌리온을 통해 110년 만에 공개된 땅이 도시와 처음으로 관계를 맺는 일, 사건(event)이다.
송현광장의 공원 기능과 더불어 도심의 열린 공간에서 다각적인 경험을 유도할 수 있도록 주요하게 생각한 부분은 파빌리온 매체의 다양성이다. 역사적으로 인류의 사회와 경제, 문화를 반영하는 파빌리온은 혁신과 저항, 교류와 이벤트, 문화 행사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발전했다. 파빌리온은 시대를 거듭하며 구조, 재료, 구축 방법 등, 여러 유형으로 발전되어왔는데 그중 세 가지에 주목한다. 첫째 구축성, 둘째 공간성, 마지막으로 비물질성이다.
첫 번째, 구축성은 도시를 구축하는 물리적인 구조물과 그 구조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유동적인 관계의 구축이다. 두 번째, 공간성은 파빌리온의 재료적 특성으로 인한 비일상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공간성을 도시에 개입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시적 감각의 경험인데, 이를 비물질성이라고 의도한 것은 벽, 기둥, 바닥 등의 건축적 요소가 아닌 시각, 청각 등의 감각기관을 활용한 인지적 공간의 경험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공공장소에서 시민이 체험한, ‘수집된 감각’의 응집체이며 기억이 없는 땅 송현동의 집단 기억이 될 것이다.
제4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가 송현동 부지에서 진행됨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 현장프로젝트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지난 25여 년간 실험적인 구조물로서 건축과 미술계에서의 파빌리온의 역할을 돌아보고, 무엇보다 송현동에 첫발을 내딛는 건축물로서의 파빌리온의 역할과 도시적 맥락에서의 순기능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또 도시의 스케일에서부터 작은 스트리트 퍼니처(street furniture)까지 다양한 층위의 건축적 장치를 시민들이 일상에서 만나는 즐거움이 있을 것이다. 송현동의 수많은 역사의 켜 속에 건축적 실험을 통한 땅과의 첫 만남이 시민들에게 장소성을 남길 수 있는 전시가 되기를 기대한다.
큐레이터: 김사라
장소: 열린송현녹지광장
보조큐레이터: 박영제, 조용진
구조 검토: 윤광재, 가람 엔지니어링
번역: 김나연, 박지윤, 콜린 모앳
-
리월드 / 김치앤칩스
-
나무와 흔적들: 보이(지 않)는 파빌리온 / 플라스티크 판타스티크
-
페어 파빌리온 / 페소 본 에릭사우센
-
아웃도어 룸 / 프랭크 바코 + 살라자르 세케로 메디나
-
사운드 오브 아키텍처 / 리카르도 블루머 - 멘드리시오 건축 아카데미아
-
서울 드로잉 테이블 / 프란시스코 레이바
-
파빌리온 ‘짓다’ / 조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