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전체메뉴 닫기

EXHIBITION

  • HOME
  • EXHIBITION
  • 전시

전시 / Exhibition

글로벌 스튜디오 / Global Studios

메가시티의 연결

전 세계 30개 대학이 설계한 65개의 교량 건축으로 구성한 ‘메가시티의 연결(Bridging the Megacity)’은 단순한 건축 프로젝트의 모음이 아닌 우리 도시의 미래를 바꾸겠다는 교수와 젊은 학생들의 의지를 보여주는 증거이다. 참가 대학은 한강에 위치한 세 곳의 부지를 교량 설계를 위한 중점 지역으로 지정 받았다. 첫 번째 부지는 노을공원 인근, 두 번째 부지는 노들섬 인근, 세 번째 부지는 서울숲 인근이다. 각 교량(Bridge)의 설계는 지리적 경계를 초월하여 지속가능성과 도시 회복력에 대한 글로벌 대화에 기여하는 문화, 아이디어, 열망 사이의 다리인 통합을 상징한다.

‘메가시티의 연결’은 미래의 메가시티를 정의하는 복잡한 도전과제를 다루고 있다. 설계된 교량은 단순히 한강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넘어 우리 도시가 미래에 필요로 하는 다각적인 솔루션을 구현한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는 전통적인 건축의 경계를 넘어 도시 계획, 사회 통합, 생태 보존, 기술 혁신에 대해 탐구한다.

전례 없는 도시화로 인해 전 세계 도시는 상호 작용과 지역사회 참여를 장려하는 집합적 공간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전시된 교량은 설계와 목적이 잘 어우러진 우수 사례로, 소프트 트래픽, 사회적 융합, 예술적 표현, 문화 교류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때 교량은 단순한 기능적 통로가 아니라 연결의 촉매제 역할을 하고 메가시티의 사회적 구조에 활력을 불어넣는 활기찬 장이 된다.

전시에서는 공원과 그린 벨트를 교량 구조에 통합하여 울창한 녹지 공간을 반영한 디자인을 볼 수 있다. 이 프로젝트들은 도시 환경 속에서 자연의 본질적인 역할에 대해 이야기하며, 시민들이 번잡한 도시 생활에서 피난처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교량을 통해 한강은 더 이상 장벽이 아니라 평온과 휴식의 오아시스를 엮어내는 실이 된다.

도시 확장으로 인해 종종 가려지는 생물 다양성 문제가 ‘메가시티의 연결’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일부 디자인은 야생동물의 통로와 서식지를 교량 구조에 통합해 인간이 만든 환경과 자연계의 공존을 도모한다. 이러한 교량은 도시화를 위해 생물 다양성을 희생시킬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생물 다양성의 회복을 촉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살아있는 증거가 된다.

깨끗한 물과 물 규제에 대한 메가시티의 갈증은 최첨단 집수 및 정수 시스템을 교량 구조에 통합한 혁신적인 설계를 통해 해결된다. 이러한 디자인은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시급성을 반영하여 교량을 생명선으로 변모시키고 도시 경관의 중심부에 깨끗한 물을 조절하고 공급하는 총체적인 솔루션을 제안한다.

로컬 식량 확보를 위해 새롭게 떠오르는 도시 농업은 이러한 비저너리 디자인(visionary designs)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교량은 농작물 재배와 수직 정원, 수경 재배 시설 등을 위한 비옥한 땅이 되고 농업과 도시가 조화를 이루며 메가시티의 생계를 보장하는 동시에 지역 사회와 식량 공급원을 직접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오염 수준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관심사인 대기 질은 전시에서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이 교량에는 친환경 기술을 적용하여 오염을 완화하고 도시 거주자의 웰빙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깨끗한 공기 통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디자인은 건축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으며, 대도시 주민의 건강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메가시티의 연결’은 건축적 추측을 초월해 희망과 혁신, 도시를 회복력 있고 지속 가능하며 포용적인 공간으로 변모시키겠다는 공통된 의지를 담고 있다. 서울 한강을 가로지르는 미래의 잠재적 교량을 위한 이 프로젝트는 예술적 표현을 넘어 대화의 촉매제이자 행동의 발판이며 가능성의 지표이다.

큐레이터: 레이프 호이펠트 한센

장소: 열린송현녹지광장

참여 학교: 경기 대학교, 고려 대학교, 도쿄 대학교, 로마 사피엔자 대학교, 메이지 대학교, 모나쉬 대학교, 몬태나 주립 대학교, 밀라노 공과 대학교, 벵골 인스티튜트, 본드 대학교, 부산 대학교, 아카데미 오브 아트 대학교, 시드니 공과 대학교, 싱가포르 기술 디자인 대학교,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 알리칸테 대학교, 알토 대학교, 연세 대학교, 오르후스 건축 대학교, 오슬로 건축 디자인 학교,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이화 여자 대학교, 칠레 교황 가톨릭 대학교, 쿠퍼 유니온, 퉁지 대학교, 프랫 인스티튜트, 하와이 대학교, 한양 대학교, 한양 대학교 에리카
큐레이터 칼럼
  • 본드 대학교

  • 모나쉬 대학교

  • 시드니 공과 대학교

  • 칠레 교황 가톨릭 대학교

  • 퉁지 대학교

  • 오르후스 건축 대학교

  • 알토 대학교

  • 밀라노 공과 대학교

  • 로마 사피엔자 대학교

  • 메이지 대학교

  • 도쿄 대학교

  • 오슬로 건축 디자인 학교

  • 싱가포르 기술 디자인 대학교

  • 이화 여자 대학교

  • 한양 대학교

  • 한양 대학교 에리카

  • 고려 대학교

  • 경기 대학교

  • 부산 대학교

  • 연세 대학교

  • 아카데미 오브 아트 대학교

  • 쿠퍼 유니온

  •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

  • 몬태나 주립 대학교

  •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 프랫 인스티튜트

  • 하와이 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