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전체메뉴 닫기

ARCHIVE

  • HOME
  • ARCHIVE
  • 2023

아카이브 / ARCHIVE

퉁지 대학교

교수: 리젠위
퉁지 대학교

서식지 재연결 100

도시 인공물과 자연 서식지간의 대비는 도시화와 공학적 발전에 따라 변화해 왔다. 도시 지역에서 강은 한때 장애물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서식지를 연결하는 생태 연결망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시 난개발로 인해 하천의 일부가 공원으로 사라지는 지역도 생기면서 이러한 연결성이 끊어졌다. 한강과 난지도의 변화는 서울의 도시화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으며 생태 보호와 경제 성장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킨다. 이러한 움직임은 차량 중심의 교량에서 동식물이 접근할 수 있는 교량으로의 전환을 통해 생태적 연결을 재정립하자는 주장을 이끌어내고 있다. 피어 아키펠라고(Pier Archipelago)는 재생 에너지로 구동되며 관개를 위해 강물을 정화한다. 작은 다리를 만들어 섬과 섬을 연결하면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 야생동물에게 도움이 된다. 한 세기가 지나면 인간이 만든 요소와 자연 요소 간의 대화가 이루어지고 생태 연결 시스템은 정점에 이를 것이다.

산수(山水)를 위한 비전

"산수(山水)"는 지구의 미학과 동아시아의 이상을 구현하며, 자연과 도시 생활의 조화를 상징한다. 도시가 확장되는 가운데, 도시에서 산수 비전을 되살리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도시 공간을 공유하고 공동 소유하는 방식이 진화하면서 도시 경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수 자원은 소중하고 자연을 도시 생활에 통합하는 것은 중요하다. 산수화의 디자인 방법은 지역 조건에 적응하고, 풍경을 차용하고, 크고 작은 관점을 관찰하고, 활동적이고 고요한 장면을 관찰하는 등 도시 개발을 안내해준다. 한강 대교 디자인은 산수화를 재해석하여 한강변을 하나로 연결한다. 삼각형 기반 모듈로 다리를 구성하여 다양한 활동과 경험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산과 물, 인간이 어우러진 이 디자인은 대도시 속에서 살아 숨 쉬는 산수 두루마리를 만들어내며 도시 경관 속 자연의 회복력을 증명한다.

교수: 리젠위
학생: 탕 케칭 박사, 왕 야오, 콩 샹위, 저우 웬보, 팡 친
교수: 덩펑 

학생: 탕 멩잉, 정 즈링, 류 멩쉰, 류 다웨이, 위안 탕펜윈

  • DATE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