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전체메뉴 닫기

ARCHIVE

  • HOME
  • ARCHIVE
  • 2019

아카이브 / ARCHIVE

서울의 지표면

텍사스 대학교 알링턴 | 스튜디오 리더 : 조슈아 네이슨
서울의 지표면
본 스튜디오는 도시의 ‘공통 기반’인 지표면에 주목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지표면은 문자 그대로 땅의 표면으로서 집합 도시의 기반이 되는 물리적 요소를 뜻한다. 지표면의 본질이 도시 캔버스라는 것은 자주 간과되는 사실이다. 지표면이라는 캔버스에 도시가 그려지면 지리학·생물학·형식적으로 인간의 주거가 시작된다. 본 연구는 서울의 주요 지표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다. 서울의 지표면은 서울을 보다 나은 도시로 만들고 현대 도시 생활의 다층적이고 통합적인 본질을 파악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자원이다. 그러한 점에서 도시의 지표면은 새로운 공공 공간을 탄생시킬 수 있는 활동적이고도 심층적이며 다층적인 매개체이다. 본 프로젝트는 공공 생활을 위한 공간을 활성화하고 활용하려는 목표로 도시 내부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참신하고 의미 있게 재해석하고 적용한다. 본 스튜디오는 서울의 지표면 활용을 위한 세 가지 조건을 조사했다. 기반시설로서의 지표면, 건축학적 지표면, 집합적 지표면 등이다. 우리는 도시가 지표면을 어떻게 활용하여 집합적 지표면으로서의 공공 공간을 형태와 용도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재규정하는지 살펴보았다. 우리는 그러한 지표면의 역할을 평가하고 확장하기 위해 서울을 분석적으로 연구했으며 특히 잠실의 새로운 공공 공간을 세부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다시 말해 우리의 목표는 서울의 집합적 도시 활동과 정체성에 이미 존재하는 풍요로운 특징들을 한층 더 강화하는 것이다.
  • DATE : 2019-09-07 ~
  • PLACE : 세운홀